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등록요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나비입니다 :-)
점심으로 김치볶음밥을 먹었는데, 김치볶음밥 안에 치즈가 그득그득 들어있고
겉은 조금 바삭하게! 만들어주셔서 진짜 맛있었답니다...ㅜㅜ
일반 분식집에 파는 김치볶음밥이라 별 기대없이 먹었는데 너무! 맛있어서
호로로롭 먹었답니다 ㅎㅎㅎㅎㅎ
집에서도 저녁에 해먹고 싶을 정도로 맛있었답니다!!
오늘 함께 알아 볼 공사업 면허를 철강재설치공사업입니다.
: 업무내용
: 교량 및 이와 유사한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제작하여 조립,설치하는 공사
: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조립, 설치하는 공사
: 대형 댐의 수문 및 이와 유사한 시설을 건설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조립, 설치하는 공사
면허를 취득하지 않고 공사를 진행할 경우에는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꼭 면허를 취득한 뒤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겠죠!?
: 신규등록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를 신규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건설업신청서를 제출하여 취득하는 방법입니다.
일정기간동안 자본금을 금융기관에 유지한 뒤
기업진단을 받은 후 재무관리상태진단보고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기업진단은 전문경영기관의 의뢰하여 받을 수 있으며,
기업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평잔으로 유지한 뒤 은행서류를 발급받아 받을 수 있는데
이때! 입출금내역이 있으면 기업진단이 어려울 수 있으니 입출금내역없이 유지하는게 좋으며
또한 은행서류 중 입출금거래내역확인서를 발급받을 경우 입출금거래가 제한되니 이점 유의하시기바랍니다.
: 등록요건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할 등록요건이 있습니다.
'자본금, 공제조합, 기술자, 사무실, 시설장비'
총 다섯가지며 저와 함께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본금
철강재설치공사업은 법인 7억 / 개인 14억 이상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법인은 실질자본금과 납입자본금이 7억이상,
개인은 실질자본금이 14억이상을 준비해주시면 됩니다.
자본금을 준비한 뒤 일정기간동안 금융기관에 예치하여 기업진단을 받은 후
재무관리상태진단보고서를 제출하여 자본금 등록요건을 충족한 사실을 증빙해줍니다.
이때 자본금은 면허를 발급받기 전까지 유지해야 합니다.
:공제조합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를 등록하러 가기 전 공제조합에 방문하여 신용등급평가를 받아야 하는데요,
신용등급평가를 받은 후 부여받은 등급에 따라 자본금의 25~60% 예치하여
보증가능금액확인서를 발급받아 제출해야합니다.
법인일 경우 C등급은 약 270좌, CC등급은 약 216좌 이상을 출자하며 개인은 법인의 약 2배를 출자합니다.
면허를 수령한 후 대표자님이 직접 관할 공제조합에 방문하여,
청약과 약정업무를 진행해 정식조합원이 되면 각종 보증업무와 융자업무 등을 볼 수 있습니다.
2년 뒤 60%까지 저금리로 대출도 가능하답니다!
:기술자
철강재설치공사업을 위해 기술자는 총 5명 이상이 필요로 합니다.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토목 분야의 토목기사 또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토목 분야의 중급 이상의
건설기술자인 사람 중 1명을 포함한 토목 분야 초급 이상의 건설기술자 2명 이상
2.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축분야의 건축기사 또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건축 분야의 중급 이상의
건설기술자 중 1명 이상
3.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용접분야 건설기술자 1명을 포함한 기계분야 초급 이상의 건설기술자 2명 이상
위 기술자격을 취득한 기술자가 상시근무가 가능해야 하며, 이중취업이 되어 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 회사를 잘 퇴사처리가 되었는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기술자의 관해 궁금한 사항은 문의주세요:-)
: 사무실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를 등록하고자 하는 지역에 사무실을 구해주셔야 하는데요,
사무실은 공부상 용도가 근린생활시설, 사무용도로 기재되어 있어야 하며
타사업자과 완벽하게! 분리된 공간이여야합니다.
사무실을 구한 뒤 기술자가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사무집기와 통신장비를 준비하여
사무실내외부사진, 평면도, 위치도 등을 작성해 제출해줍니다.
이때 건물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도 함께 제출해야 하며
임대인 경우에는 임대차계약서 사본도 제출해야 합니다.
:시설장비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시설장비도 준비해주셔야 하는데요,
시설장비를 준비한 뒤 각 각 사진을 찍어 제출하고, 구입한 영수증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하나라도 장비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면허 발급이 어려우니
꼭 모두 준비한 뒤 면허를 등록하러 가시길 바랍니다.
필요한 시설장비
1. 제작장
2. 현도장
3. 기중기
4. 전기용접기
오늘은 이렇게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를 알아보았는데요,
전문건설업이지만 다른 건설업에 비해 자본금의 금액이 큰 특징이 있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언제나 전화주시길 바랍니다 :-)
'전문건설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도설치공사업 신규등록으로 면허취득하기 (0) | 2020.02.24 |
---|---|
철근콘크리트공사업 등록요건! (0) | 2020.02.20 |
강구조물공사업 신규등록으로 면허취득하기 (0) | 2020.02.14 |
상하수도설비공사업 : 면허등록업무! (0) | 2020.02.12 |
습식방수공사업 면허를 취득시 필요한 등록요건 (0) | 2020.02.10 |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안내
안녕하세요 ~ >O<
철강재설치공사업에 대해 안내해드릴 나비입니당~!
왠지 월요일 같기도 한 목요일 오후..ㅎㅎ
어제가 10월 9일 한글날로 쉬었기 때문이죠~~
한글은 정말 위대한거 같아요~
전세계 사람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알아주었으면 좋을텐데...ㅎ
날씨가 왜이리 급격하게 바뀌는지..
9월달엔 춥다가 10월초 갑자기 또 더워졌다가 태풍과 비가 온 뒤론
갑자기 또 많이 쌀쌀해 졌네요~~
주변에 감기에 걸리신 분들도 많고 저 또한 축농증과 중이염으로 고생중인데..ㅠㅠ
옷 따숩게 입으셔서 건강 잘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교량 및 이와 유사한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제작하여 조립하고 설치하는 공사 /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조립하고 설치하는 공사 /
대형 댐의 수문 및 이와 유사한 시설을 건설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조립하고 설치하는 공사 /
이러한 공사들을 하는 건설업을
철강재설치공사업 이라고 합니다.
위의 알려드린 공사들을 시행하려고 하신다면
철강재설치공사업 면허는 필수입니다~
면허취득을 위해서는 먼저 등록기준부터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먼저 철강재설치공사업의 자본금 기준은
법인 7억 이상 / 개인사업자 14억 이상 입니다.
각각의 금액만큼 준비해 주셔야 하고~
자본금은 계속 일정기간동안 유지를 하고 있어야 기업진단이 가능해 집니다.
회계사, 세무사, 경영지도사에게 기업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철강재설치공사업은 전문건설업에 속하는 건설업 면허 중에 하나입니다.
전문건설업의 경우 대개 전문건설공제조합에 예치를 하는데요
준비된 자본금의 일부에서 현금으로 예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공제조합에서는 재무상태, 신용평가 등을 평가한 후
그 결과에 따라서 예치해야하는 좌수와 금액을 알려줍니다.
법인 C등급은 270좌, CC등급 이상은 216좌
개인 C등급은 539좌, CC등급 이상은 431좌
를 예치해 주시면 됩니다.
예치한 후에는 보증가능금액확인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합에 가입원이 되시면 추후 여러가지 조합의 업무들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철강재설치공사업은 총 5명 이상을 기술인력으로 등록해 주어야 하는데요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토목분야의 토목기사 또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토목분야 초급이상의 건설기술자
(토목분야 중급 이상의 건설기술자 1명 반드시 포함) 중 2명 이상
2.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축분야의 건축기사 또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건축분야 중급이상의 건설기술자 중 1명 이상
3.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기계분야 초급이상의 건설기술자
(용접분야 건설기술자 1명 반드시 포함) 2명 이상
위의 범위에 해당되는 2명+1명+2명 총 5명 이상을 등록해 주시고,
각 기술자를 증명할 수 있는 기술자수첩, 4대보험가입확인서류 등을
준비해 주셔야 합니다.
기술자는 모두 상시근무가 가능해야 하고,
다른업체에 이중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야 합니다
철강재설치공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사무실을 마련해 주셔야 하는데요
건설업 영위 전용으로 쓰일, 건축법상 사무실로 이용이 타당한 장소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제2근린생활시설 등)
사무실은 독립적으로 쓰여야 하고, 다른업체와 공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사무실내에는 사무기기, 통신기기 등을 설치하여서 사무를 볼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철강재설치공사업은 장비4가지도 등록전에 등록기준대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요
1. 제작장 (건축물의 바닥면적이 2천㎡ 이상)
2. 현도장 (길이 50m 이상, 폭 15m 이상)
=> 각각 자기소유로 등기.
3. 기중기 (50톤 이상)
4. 전기용접기 (30kVA 이상)
위의 모든 장비들을 준비하시고 사진을 찍고
구입을 증명하는 서류들을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위의 5가지 등록기준들을 모두 확인하셨나요??
자세한 면허문의는 나비건설정보로 전화주시면 친절하게 설명들으실 수 있습니다.
모든 등록기준들을 확인하고 충족이 되었다면 사무실 소재지의 해당관청에서
등록접수를 해주셔야 합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주세요^^
감사합니다~ >O<
나비건설정보(주)
www.navimna.kr
'전문건설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설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안내 (0) | 2019.10.14 |
---|---|
삭도설치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안내 (0) | 2019.10.11 |
강구조물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무엇 (0) | 2019.10.08 |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안내 (0) | 2019.10.07 |
조경식재공사업 등록기준 확인하기 (0) | 2019.10.04 |